블로그 이미지
홍신[弘信]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59)
보안 (34)
공부 (20)
여행 (0)
문화 (1)
기록 (0)
나름 (3)
Total
Today
Yesterday

달력

« » 2025.2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구글, 보호되지 않은 WI-FI 네트워크로부터 패킷을 스니핑하여 고소당할 수 있다. (2011.06.30)

캘리포니아 연방 판사는 구글 스트리트 뷰 특성때문에 이미지와 정보를 모으는 중 보호되지 않은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 패킷을 수집한 것 때문에 고소당할 수 있다고 판결했다. US 지방 판사 James Ware는 구글과 관련된 여러개의 결합된 소송에 대한 의장을 맡고 있다. "법원은 원고가 무선 도청 방지법(WireTap Act)의 위반에 대해 변론하기에 충분한 사실을 이유로 내세운 것을 발견하였다(안다). 구글은 AM/FM 라디오, 경찰 무전 네트워크와 같은 오픈된 무선 네트워크와 비교하면서 안전하지 않은 무선 네트워크로부터의 데이터 차단은 불법이 아니라고 말하며 소송을 기각하려고 시도하였다. Ware 판사는 암호화되지 않은 무선 네트워크인 전통적인 라디오 네트워크에 적용된 법이라고 말하며 동의하지 않았다. 구글은 또한 독일 당국으로부터 문의받기 전까지 패킷을 스니핑하는 것을 깨닫지 못했다.  

 Judge Says Google Can be Sued for Sniffing Packets from Unprotected Wi-Fi Networks (June 30, 2011)
A federal judge in California has ruled that Google can be sued for collecting data packets from unprotected wireless networks while gathering images and information for its Street View feature. US District Judge James Ware is presiding over about a dozen combined lawsuits filed against Google over the issue. "The court finds that
the plaintiffs plead facts sufficient to state a claim for violation of the Wiretap Act." Google was seeking to dismiss the cases, saying that intercepting data from unsecured wireless networks is not illegal, comparing open wireless networks to AM/FM radio and police band radio. Judge Ware did not agree, saying that the law applies to traditional radio networks, but not to unencrypted wireless networks. Google also maintained that it did not realize it was sniffing the packets until its practices were questioned by German authorities.

http://www.wired.com/threatlevel/2011/06/google-wiretap-breach/
Posted by 홍신[弘信]
, |
올 여름 260여명의 학생들이 참가하는 미국 사이버 챌린지 사이버 캠프가 열린다.(2011.06.30)

올 여름 260여명의 학생들이 참가하는 미국 사이버 챌린지 사이버 캠프가 열린다. 미국 사이버 챌린지의 일환으로, 사이버 캠프는 200여개 이상의 대학(college)과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사이버 보안 능력을 개발하고 연마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미국 전역에 걸쳐서 개최된다. 사이버 챌린지는 사이버 보안 인력을 강화하기 위한 "헌터와 툴 개발자" 10,000을 식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학생들은 다양한 경쟁속에서 점수에 기초하여 선택될 부트 캠프에 참석하기 위해 초대될 것이다. 작년에는 3개의 학교가 55명의 학생을 위해 부트 캠프를 열었으며 올해에는 260명의 학생들이 고등학생을 위한 Maryland를 포함하여 5개 대학(College)의 캠프에 참석할 것이다. 

US Cyber Challenge Cyber Camps to Host 260 Students This Summer(June 30, 2011)
As part of the US Cyber Challenge, cyber camps are being held at colleges across the US to provide more than 200 colleg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opportunity to develop and hone their cyber security skills. The Cyber Challenge aims to identify 10,000 "hunters and tool builders" to enhance the country's cyber security work force.  Students must be invited to attend the boot camps; they are selected based on their scores in a variety of competitions. Last year, three schools hosted boot camps for 55 students; this year, 260 students are attending
the camps at five colleges, including one in Maryland for high school students.

http://gcn.com/Articles/2011/06/30/cybersecurity-boot-camps-Cyber-Challenge.aspx?Page=1
Posted by 홍신[弘信]
, |
영화 산업계, 해적판 영화 호스팅 사이트의 차단 방법을 요구하다.(2011.06.27)

Motion Picture 연합(MPA)은 유출된 영화를 호스팅하는 웹사이트로의 접근을 불가능하게 하기 위한 금지 명령을 요구하 고 있다. MPA는 BT가 Newzbin 사이트를 차단하기 위한 아동 포르노 차단을 위해 사용되는 것과 같은 기술을 사용하기 원한다. BT는 영국에서 가장 큰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이며 Cleanfeed라 불리는 사이트 차단 시스템을 다른 ISP에 제공하기 때문에 금지명령의 타겟으로 선택되었다. MPA는 MPAA의 국제적인 카운터파트이다.

Film Industry Seeks to Block Site That Hosts Pirated Movies(June 27, 2011)
The Motion Picture Association is seeking an injunction that would force BT to sever access to a website that hosts pirated films. The MPA wants BT to use the same technology that it uses to block child pornography sites to block the Newzbin site. BT was chosen as the target of the injunction because it is the largest Internet service provider (ISP) in the UK and because it provides a site blocking system called Cleanfeed to other ISPs. The MPA is the international counterpart to the Motion Picture Association of America (MPAA).

http://www.bbc.co.uk/news/technology-13927335


Posted by 홍신[弘信]
, |
불법복재 소프트웨어를 판매에 대한 형기(2010.10.29-30)

텍사스 출신 Todd Alan Cook은 온라인으로 불법 소프트웨어를 판매하다가 18개월 형을 선고받았으며 판사는 또한 대략 미화 60만 달러를 Cook에게 배상하라고 명령했다. 올해 초 Cook은 형사상의 저작권 위반에 대해 유죄라고 진술했다. 거의 2년동안 Cook과 그의 아버지 Robert D. Cook, 그리고 또 다른 한 명은 위조 소프트웨어를 판매하기 위한 웹사이트를 운영했다. 해적판 소프트웨어의 가치는 대략  미화 백만달러 이상일 것으로 추정된다. 나이많은 Cook은 12월 3일 선고받기로 예정되어 있다. 

Prison Term for Selling Pirated Software(October 29 & 30, 2010)
A Texas man, Todd Alan Cook, has been sentenced to 18 months in prison for selling pirated software online.  The judge in the case also ordered Cook to pay nearly US $600,000 in restitution.  Earlier this year Cook pleaded guilty to criminal copyright infringement.  For nearly two years, Cook and his father, Robert D. Cook and a third individual,
operated websites through which they sold counterfeit software.  The value of the pirated software has been estimated at more than US $1 million.  The elder Cook is scheduled for sentencing on December 3.

http://www.computerworld.com/s/article/9194042/Texas_man_sentenced_for_selling_pirated_software_online?taxonomyId=82
http://www.eweek.com/c/a/Security/Texas-Man-Sentenced-to-18-Months-for-Software-Piracy-187275/
Posted by 홍신[弘信]
, |
환경 : hadoop-0.20.2.tar.gz / hbase-0.20.4.tar.gz

Hbase는 하둡에서 사용하는 데이터베이스 이다.

하둡 계정의 하둡 폴더에 하둡이 설치되었다면 경로는 다음과 같을 것이다.
/home/hadoop/hadoop

hbase를 Apache.org에서 다운받고 아래 경로에 압축을 해제하도록 한다.
/home/hadoop/hadoop/hbase

1. 파일 수정
1) /hbase/conf/hbase-env.sh
아래의 내용과 같이 자바홈과 하둡홈을 설정해준다
export JAVA_HOME=/usr/lib/jvm/java-6-openjdk/
export HBASE_HOME=/home/hadoop/hadoop/hbase

2) /hbase/conf/hbase-site.xml
<configuration>
  <property>
    <name>hbase.master</name>
    <value>MASTER_IP:9000</value>
    <description>The host and port that the HBase master runs at.
    </description>
  </property>
  <property>
    <name>hbase.rootdir</name>
    <value>hdfs://MASTER_IP:9000/hbase</value>
    <description>The directory shared by region servers.
    </description>
  </property>
</configuration>

3) /hadoop/conf/hadoop-env.sh
아래의 항목을 추가한다.
export HBASE_HOME=/home/hadoop/hadoop/hbase
export HADOOP_CLASSPATH=${HBASE_HOME}:${HBASE_HOME}/hbase-0.2.0.jar:${HBASE_HOME}/conf

2. 설정 파일 복사
1) /hadoop/conf/hdfs-site.xml, mapred-site.xml, core-site.xml 파일들을
    /hadoop/hbase/conf/ 로 복사한다. -> (하란대로 하긴 했는데 안해도 돌아가는지 확인은 안했음)

3.  regionservier 파일 생성
1) /hadoop/conf/slaves를 복사하여 regionservers 파일을 생성한다.
   $ cp /hadoop/conf/slaves regionservers

4. /hbase/lib에 있는 hadoop 버전을 맞춘다.
1) /hadoop/hadoop-0.20.2-core.jar = /hadoop/hbase/lib/hadoop-0.20.2-core.jar

5. hbase 실행
1) 실행 /hbase/bin/start-hbase.sh
hadoop@hadoop:~/hadoop/hbase/bin$ jps
5902 SecondaryNameNode
5976 JobTracker
8617 Jps
6132 TaskTracker
5584 NameNode
5746 DataNode
8281 HQuorumPeer
8340 HMaster
2) 중지 /hbase/bin/stop-hbase.sh
3) 검사 /hbase/bin/hbase [shell | migrate]

ref. http://tenny.egloos.com/2038390
Posted by 홍신[弘信]
, |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글 보관함